랜섬웨어 기술 변화와 예방 방안 인터넷 호스팅 업체 ‘인터넷나야나’의 웹 호스팅 서버가 랜섬웨어에 감염되어 웹호스팅 서버 153대가 랜섬웨어에 감염된 뉴스를 기억하시나요? 이 호스팅 업체를 통해 서비스 되던 약 3,400개의 홈페이지도 함께 마비된 랜섬웨어 피해 사건입니다. 랜섬웨어를 복구하려면 복호화키가 필요한데 해커는 복호화 키을 제공하는 대가로 익명성을 가지고 있는 전자화폐인 비트코인(Bitcoin)을 요구했다고 합니다. 해커와 협의하여 서버를 조금씩 복구하고 있다는 뉴스를 접할 때 마다 이게 뭐하는 짓인가..? 하는 생각이 듭니다.이번 랜섬웨어 사건을 통해 랜섬웨어의 기술변화와 그에 따른 기본적인 대응 방안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랜섬웨어(Ransomware) 기술 변화 2013년 이전에는 대부분의 랜섬웨어가 Trojan.. 유용한 정보 8년 전
컴맹도 가능한 랜섬웨어 대응방법 랜섬웨어란 무엇인가? 몸값을 뜻하는 랜섬(Ransom)과 제품을 뜻하는 웨어(Ware)의 합성어로 사용자의 컴퓨터에 불법으로 설치되어 파일을 열지 못하게 하고 열게 하려면 돈을 요구하는등 파일을 인질로 잡아 금전적인 요구를 하는 악성 프로그램을 말합니다. 랜섬웨어 주요 유포 경로는? 랜섬웨어(RansomWare) 유포에 주로 이용된 경로는 취약점을 통한 유포, 악성 스팸 메일, 취약점과 스팸 메일을 병행한 유포가 주를 이루고 있습니다. 국내에서 악명을 떨치고 있는 케르베르(Cerber) 랜섬웨어가 스팸 메일에 첨부된 자바 스크립트(JS) 파일을 통해 유포되었습니다. 또 2년 전 국내 유명 커뮤니티 사이트를 통해 유포된 크립토락커(Cryptolocker, 일명 Teerac 또는 TorrentLocker)는.. 유용한 정보 8년 전